2023.06.16 JIKJI NEWLETTER |
|
|
📢아아, 신서체 소식 전합니다📢
다들 오랜만이에요!😎
벌써 2023년의 반이 지나가고 여름이 성큼 다가왔네요.🧜
6월 첫 소식은 직지소프트의 2023년의 첫 번째 서체.
J씸입니다.
장체(Condensed) + 가장 두꺼운 굵기(Heavy)
🆕신서체 J씸을 소개합니다!🆕
|
|
|
명료하고 깔끔한 인상을 가진 J씸은 타이틀 서체로,
👯쌍자음이 들어가는 가로 모임 꼴과 받침 글자 그룹에서 새로운 시도를 통해👯
흥미로운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폰트입니다.
|
|
|
총 2780자의 한글 구성으로
오픈타입 피처 쌍자음 355개 글립추가가 되었습니다🔥
가로/세로 버전 선택으로 더욱 효율적인 공간 활용도와
높은 주목도👀를 가지고 있는 서체로,
명쾌한 디자인을 하기에 참 안성맞춤입니다.
밀도 있는 고딕 Condensed J씸은 글자 사용만으로 강한 존재감을 보여주며,
단순 서체 사용만으로도 지면/ 화면의 완성도를 높여줍니다.⌨️
|
|
|
영문 대문자 A, N, V, W, X, Y와 한글의 ㅅ, ㅈ, ㅊ, ㅆ, ㅉ에서
교차 면적의 먹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 트랩 디테일도 적용했습니다.🖊️
|
|
|
💭JShim의 더 많은 모습이 궁금하다면?💭
홈페이지 내 [폰트스토리] 에서 J씸으로 신문에 적용된 J씸을 만나보세요!
|
|
|
6월 소개해드릴 [직지 지금]의 소식 첫 번째로,
📗제1회 군산초단편문학상 공모전을 소개합니다.📗
그 어디에도 기댈 곳 없는 이 황량한 시대에 우리들에게 야트막한 사랑을 안겨줄
짧고 아름다운 작품을 모으고 있습니다.💗
"타이포그래피는 보이지 않는 말을 보이게 하는 것이다.
타이포그래피는 속삭이고, 고함지르고, 노래하고, 비통해하고,
즐거워하고, 히히덕거리고, 그리고 중얼거릴 수 있다.
이와 같은 언어적 뉘앙스를 표현하는 여러 방법이 바로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핵심이다.
그러므로, 다양한 목소리 만큼이나 다양한 서체가 필요한 것이다.”
-에릭 스피커만(Erik Spiekermann)
직지 소프트의 다양한 서체들에 담길 다양한 목소리를 짧아도 아름답게,
전해보는 건 어떨까요?🤓
|
|
|
군산초단편문학상 공모전 📝📝📝
GUNSAN HYPER SHORT LITERATURE AWARD
@gs.hyperaward
- 참가 자격 : 제한 없음
- 공모 분야: 제한 없음(원고지 1매 ~ 50매 내외의 초단편 문학)
- 응모 요건: 시 - 3편 이상 / 수필, 소설, 희곡, 시나리오 등 - 1편
공모 일정
- 접수: 2023년 6월 15일(목) ~ 8월 31일(목)
- 발표: 2023년 9월 20일(수)
- 시상: 2023년 10월 중
시상 내역
- 대상: 상금 200만원(1명)
- 가작: 상금 50만원(3명)
- 응모우수상: 상금 10만원(5명)
※ 수상 작품은 『군산초단편문학상 수상 작품집』(가제)으로 출간합니다.
|
|
|
두 번째 소식은,
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학술논문집 『글짜씨』를 나누는 너른 곳,
💌《글짜땅》의 두 번째 뉴스레터입니다.💌
"말은 시간 속에서 진행되고, 글은 공간 속에서 진행된다.”
-칼 게르스트너(Karl Gerstner)
2010년 처음 발간한 이래로 좌담, 비평, 작업 그리고 논문 등 다양한 방식으로
연구 내용을 담아온 『글짜씨』는 디자이너와 연구자를 길러내는 양질의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습니다.
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이야기가 담긴 글자들이 진행되는 공간,
《글짜땅》에 첫발을 내디뎌보세요.🥾🥾
|
|
|
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, 뉴스레터 글자땅 🟫🟧🟩⬜️
Korean Society of Typography
@koreansocietyoftypography
《글짜땅》은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학술지 『글짜씨』의 창간호부터 최근 호까지의 내용을 발췌하여 공유하는 웹사이트입니다. 두 달에 한 번, 10여 페이지를 카드 형태로 업로드합니다.
※ 메인화면 상단의 '구독'을 통해 업데이트 사항을 뉴스레터 형식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.
《글짜땅》은 공지와 키워드 그리고 여러 개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공지사항은 수직으로, 키워드는 수평으로 글짜땅을 가로지르며 푸른색으로 표현되어 『글짜씨』의 내용을 담은 카드와 구분됩니다. 갖가지 색으로 표현된 카드를 클릭하여 『글짜씨』의 한 페이지를 확대하여 볼 수 있으며, 하단의 ‘이미지 내려받기’ 버튼을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. 또 카드에 등록된 페이지가 논문일 경우 ‘전문보기’ 버튼으로 논문 전문이 업로드된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웹사이트로 연결됩니다.
|
|
|
친구에게 뉴스레터를 추천해주세요!
아름다운 감성을 직지 폰트로 일상의 가치를 높이세요. |
|
|
🔽연간 라이선스로 운영되는 직지 멤버십으로 직지 폰트를 자유롭게 사용하세요🔽 |
|
|
저작권 © 2019 JIKJISOFT, 판권 소유.
마케팅 수신 동의 옵션을 확인한 후 보내 드리는 발신 전용 메일입니다.
서울 특별시 중구 수표로 48-7
|
|
|
|
|